시작하려면 생성된 폐복막에 10mm 투관침을 삽입하고 로봇의 세 번째 팔을 통해 복강경을 삽입합니다. 복강경을 사용하여 복강내 장기를 탐색하여 복수가 없는지 확인하고 종양 착상 또는 전이의 징후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3개의 10mm 투관침을 삽입한 후 두 개의 12mm 보조 포트를 준비하는데, 하나는 수직선의 투관침 2와 3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왼쪽 쇄골 중간 선의 내측에 있습니다.
로봇 작동 레버를 연결하고 로봇 보조로 복강경 작업을 시작합니다. kocher 절개를 사용하여 십이지장의 하강 및 수평 부분을 동원합니다. 초음파 나이프를 사용하여 십이지장의 하강 부분의 약 8cm를 절개하고 십이지장 유두 덩어리를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초음파 칼로 십이지장 주름과 근육층을 종양 주위 3-5mm 깊이로 절개합니다. 종양을 완전히 절제하고 검사를 위해 즉시 검체를 동결합니다. 4.0 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절개된 십이지장 주름, 근육층 및 담도 췌관의 합류 부분의 그루터기를 불연속적으로 문합합니다.
문합을 지지하기 위해 스텐트 튜브를 삽입하고 4.0 프롤렌 봉합사로 스텐트를 십이지장의 원위부에 고정합니다. 3.0 putus 봉합사를 사용하여 십이지장 절개 부위의 점막층과 형질근층을 간헐적으로 봉합하여 상처를 묻습니다. 마지막으로 식염수로 복강을 헹구어 출혈 지점을 확인하고 Winslow foramena와 paraduodenum에 배액관을 놓습니다.
절개 부위를 4.0 실크 봉합사로 봉합하여 수술을 마무리합니다. 로봇 보조 췌장 담도 접합 절제술은 3.5시간 만에 완료되었으며 수술 중 출혈량은 30ml의 최소량으로 수혈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수술 후 배액 아밀라아제 수치는 수술 후 2일차 리터당 8,855 단위에서 수술 후 9일차 리터당 49.96 단위로 현저히 감소하여 췌장 합병증이 없이 회복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배액 총 빌리루빈 수치는 수술 후 3일차 리터당 27.45마이크로몰에서 9일차 리터당 9.3마이크로몰로 감소했는데, 이는 담관 기능이 개선되고 누출이 없음을 반영합니다. 병리학적 소견에서 수술 전 진단과 일치하는 십이지장 유두 융모 세뇨관 선종의 존재가 확인되었습니다. 수술 후 영상은 십이지장 종양의 완전한 제거와 담도 스텐트의 정확한 배치를 보여주어 수술 기법의 효능을 뒷받침했습니다.